| 若狭小浜디지탈 문화재 | TOP |
| (오십음순서) | ||
| 青島 | 아오시마 | 小浜湾 내의 난지성 식물이 군생하는 섬 이름. |
| 衣褶 | 이슈우 | 옷의 주름. |
| 一木造 | 이찌보쿠즈쿠리 | 상의 머리 부분과 몸통부의 주요부를 1재로부터 조각하는 기법. |
| 豕扠首 | 이노코사스 | 대들보 위에 목재를 합장 형태로 짜, 그 중간에 다발을 세운 방식. |
| 入母屋造 | 이리모야즈쿠리 | 박공지붕 형식. |
| 内刳 | 우찌구리 | 상의 내부가 空洞으로 만들어지는 것. |
| 鳥摩 | 우마 | 대자재천(大自在天)의 부인의 이름. |
| 衣紋 | 에몬 | 옷깃을 가슴에 맞춘 부위의 주름. |
| 黄鐘 | 오우시키 | 일본 음악의 음명으로, 십이율(十二律)의 여덟 번째 소리. |
| 尾棰 | 오다루키 | 서까래. |
| 開扉供養 | 카이히쿠요 | 秘仏등을 공개 공양하는 것. |
| 蟇股 | 카에루마타 | 들보 위에 장식한 개구리 뒷다리 형상의 조각물. |
| 火焰光背 | 카엔코오하이 | 화염을 의장(意匠)으로 사용한 후광(後光). |
| 春日仏師 | 카스가붓시 | 나라(奈良)를 중심으로 한 불사(仏師). |
| 頭貫 | 카시라누키 | 기둥과 기둥 사이의 상부를 연결하는 인방. |
| 勝男木 | 카츠오기 | 신사등의 마룻대 위에 장식으로서 마룻대와 직각 방향으로 늘어놓은 통나무. |
| 乾漆 | 칸시츠 | 옻칠을 주요한 소재로 한 조상(彫像)등. |
| 切妻造 | 키리즈마즈쿠리 | 맞배지붕 형식. |
| 釧 | 쿠시로 | 몸에 장식하는 팔찌의 하나. |
| 首柄 | 쿠비즈카 | 불상의 목 부분과 동체부를 접합할 때의 목 부분의 무늬. |
| 結跏趺座 | 켓까후자 | 좌선할 때의 앉음새(결가부좌). |
| 羂索 | 켄사쿠 | 天部 불상 등이 가지고 있는 새끼줄. |
| 玄奘三蔵 | 겐죠우산조우 | 중국 唐代 초기의 승려로 경전 한역자의 대표적 인물. |
| 間斗束 | 켄토즈까 | 처마 주위의 기둥 상부의 사이에 놓여지는 동자기둥. |
| 格狭間 | 코오자마 | 곡선으로 椀형의 윤곽을 가지는 형태. |
| 楮紙 | 코오조카미 | 닥나무 껍질의 섬유를 원료로 한 종이. |
| 小袿 | 코우치키 | 상류 계층의 여성 평상복. |
| 光背 | 코오하이 | 불상의 배후에 붙이는 광명을 나타내는 것(후광). |
| 向拝 | 코오하이 | 신전이나 불당의 정면에, 본체로부터 나와 차양을 마련한 부분. |
| 勾欄 | 코오란 | 구석의 젖혀져 구부러진 난간. |
| 虹梁 | 코오료오 | 대들보. |
| 腰長押 | 코시나게시 | 창의 하단이나 벽의 중간 정도 건물의 허리 부분에 있는 중인방. |
| 三間社流造 | 산겐샤나가래즈쿠리 | 신사 本殿의 한 형식. |
| 繁棰 | 시게다루키 | 처마를 조밀한 간격으로 늘어 놓은 서까래. |
| 漆箔 | 싯빠쿠 | 상의 표면에 옻칠을 발르고, 그 위에 금박을 두는 기법. |
| 蔀戸 | 시토미도 | 덧문. |
| 邪鬼 | 쟈키 | 天部仏像 등의 다리 밑에 밟고 있는 마귀. |
| 錫杖 | 샤쿠죠오 | 지팡이. |
| 蛇腹支輪 | 쟈바라시린 | 실내의 벽에 수평으로 두른 띠 모양으로 장식한 돌출부를 지탱하는 竪木. |
| 思惟像 | 시유이조오 | 사유상(思惟像). |
| 拾椎雑話 | 슈우스이자쯔와 | 江戸시대、若狭小浜의 서민 사화(史話). |
| 種子 | 슈지 | 밀교에서, 부처나 보살을 등을 가리킴. |
| 須弥壇 | 슈미단 | 불상을 안치하는 단(수미단). |
| 条帛 | 죠우하쿠 | 불상 등의 상반신에, 알몸 위에 비스듬하게 걸쳐 휘날리게 하는 견포. |
| 女﨟衆 | 죠로오슈우 | 여자 시중. |
| 清規 | 신기 | 승려들의 사원 생활의 규칙. |
| 神仏混淆 | 신부츠콘코오 | 본지 수적설에 의거해, 신과 부처를 하나. |
| 厨子 | 즈시 | 불상 등을 안치하는 仏具. |
| 施無畏 | 세무이 | 석가여래상 등의 수인(手印). |
| 羨道 | 센도우 | 연도(고분 입구에서, 현실에 이르기까지의 길). |
| 蘇洞門 | 소토모 | 小浜湾의 한 구역에 있는 명승. |
| 代赭 | 타이샤 | 대자색. |
| 千木 | 치기 | 고건축에서 지붕 양끝에 X자 형으로 교차시킨 길다란 목재. |
| 智拳印 | 치켄인 | 금강계 대일여래보살을 묽는 手印. |
| 竺仙梵僊 | 지쿠센본센 | 원나라로부터 도래한 승려. |
| 彫眼 | 쵸오간 | 불상 조각에서 눈 조각법. |
| 頂相 | 친조오 | 선조 개조상 등의 초상화. |
| 束 | 츠까 | 짧은 수직의 재. |
| 妻飾 | 츠마카자리 | 맞배지붕 구조나 박공지붕 구조에 이용하는 삼각형 부분의 장식. |
| 天衣 | 텐네 | 불상의 상의에 걸친 옷. |
| 斗束 | 토쿄오 | 짧은 수직재. |
| 兜率天 | 토소츠텐 | 六欲天의 하나. |
| 泥下地 | 도로시타지 | 숫돌 가루 등을 밑바탕에 진흙을 이용한 것. |
| 中備 | 나까소나에 | 처마 주위 기둥 사이의 상부에 놓여 있는 조각물. |
| 那羅延金剛 | 나라엔콘고오 | 仁王門의 우측에 서 있는 금강역사상. |
| 衲衣 | 노우에 | 승려가 입는 법의. |
| 矧ぐ | 하구 | 얇게 도려 내는 것. |
| 浜床 | 하마유까 | 침전 등의 안방에 마련한 귀족 휴침용의 받침대. |
| 梁 | 하리 | 기둥. |
| 半跏踏下 | 한까후미시타 | 반가상으로 왼발을 늘어뜨린 모습. |
| 飛檐 | 히엔 | 높은 처마. |
| 膝張 | 히자바리 | 불상 등의 무릎 폭의 치수. |
| 臂張 | 히지바리 | 불상 등의 팔 폭의 치수. |
| 菱欄間 | 히시란마 | 통풍공간의 틈이 마름모꼴로 세공된 것. |
| 皺文 | 히몬 | 조각면에 나타난 옷주름. |
| 白毫 | 뱌쿠고오 | 불상 등의 미간에 수정 등이 껴 있는 것. |
| 檜皮葺 | 히와다후키 | 노송나무 껍질로 인 지붕. |
| 二軒 | 후타노키 | 상하 2단으로 되어 있는 처마. |
| 舟肘木 | 후나히지키 | 기둥 위에 횡목만을 올려놓아 도리를 지탱하는 것. |
| 忿怒 | 훈노 | 분노. |
| 紅柄 | 벤가라 | 적색 염료. |
| 法界定印 | 호우카이죠인 | 본상 처럼 결과부자의 무릎 위에 왼손 바닥을 올려놓고. 그 위에 오른손 바닥을 겹쳐서 두개의 엄지손가락 끝을 맞춘다. |
| 宝篋印塔 | 호우쿄인토오 | 宝篋印 다라니의 경문을 납입한 탑. |
| 方形造 | 호오교오즈쿠리 | 지붕 형식의 하나. |
| 宝剣 | 호오켄 | 天部불상이 가지고 있는 보검. |
| 翻波 | 혼바 | 헤이안 초기, 목조 불상의 의복 주름의 표현법. |
| 摩尼宝珠 | 마니호오슈 | 지장보살 등이 받쳐 들고 있는 여의주. |
| 廻縁 | 마와리엔 | 건물의 주위를 두르는 툇마루. |
| 密迹金剛 | 밋샤쿠콘고오 | 仁王門의 좌측에 서 있는 역사. |
| 簑束 | 미노츠카 | 間斗束의 다른 이름. |
| 裳 | 모 | 치마. |
| 裳懸座 | 모카케자 | 늘어뜨러진 치마 형태로 만들어진 대좌. |
| 髻 | 모토도리 | 상투. |
| 母屋繋 | 모야츠나기 | 사전의 처마 안쪽으로 연결된 것. |
| 棡 | 유즈리 | 明通寺에서, 각 불상의 재료로 사용된 유즈리나무. |
| 瓔珞 | 요오라쿠 | 여의주나 귀금속을 가슴 등에 장식하는 장신구(영락). |
| 寄木造 | 요세기즈쿠리 | 목 조각에서, 많은 나무를 부위별로 조각해서 조립한 불상. |
| 螺髪 | 라호츠 | 여래불상의 두상에 큰 낱알로 된 소용돌이 모양의 머리. |
| 龍頭 | 류우즈 | 범종 상부의 고리. |
| 蓮華座 | 렌게자 | 연꽃 형태로 된 불상을 안치하는 대좌(연화좌). |
| 稚狭考 | 와카사코오 | 江戸시대에, 若狭国에 관한 사서. |
| 若狭塗 | 와카사누리 | 若狭小浜의 칠기. |